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58

centos ip 관련 정보

경로 /etc/sysconfig/network-scripts 폴더 안에 존재 각각의 list중 ifcfg-{interface명}으로 나와있음 고정 ip 수동으로 설정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vim ifcfg-{interface명} BOOTPROTO=dhcp # static 수정 #추가 IPADDR=XXX.XXX.XXX.XXX NETWORK=XXX.XXX.0.0 NETMASK=255.255.255.0# ex) c class설정 GATEWAY=XXX.XXX.XXX.XXX DNS1=168.126.63.1# dns의 경우 설정유무에 따라 DNS2=168.126.63.2 설정 후 재시작 dhcp 자동 ip의 경우 위 수동에서 추가 아래코드는 주석처리, BOOTPROTO=dhc..

나미/리눅스 2021.07.13

https post

요즘 c언어가 별로 없다 보니 생각보다 자료나 연동에 있어서 고생을 많이 한다... 이번에 프로젝트에서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plc.. 등등 연동하다가 https 웹소켓을 함께 연동하는 일이 생겨서 겸사겸사 올려본다. /*==============================================================================================/ * * Copyright (C) 2021 Qsentech Software Corp Reaserch Institute * All rights reserved. * * Author : Lee Kyu Nam (nasanx2001@naver.com) * *=======================================..

나미/C 2021.05.27

ntp 클라이언트 설정

우선 ntp를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ntp 우분투 18.04버전 이후부터는 커널에서 제공해주는 timedatectl을 사용하게 되면 매우 간단하게 적용 가능하다 $ vim /etc/systemd/timesyncd.conf [Time] #NTP= #FallbackNTP=0............ 이렇게 되어있는데 저기 #NTP 주석을 풀고 NTP=server XXX.XXX.XXX.XXX 이렇게 쓰고 저장 $ systemctl start systemd-timesyncd $ systemctl enable systemd-timesyncd 이후 date를 쳐보면 원하는 ntp서버와 동기화가 되어있다. 이상

나미/우분투 2020.05.25

프로세스 kill (code=killed, signal=kill)

우분투의 경우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서비스에 등록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같은 경우 백그라운드로 프로그램이 동작함에 따라 어떤경우에의해 죽었는지 로그를 따로 저장하는 기능이 없는경우 왜 죽었는지 실제로 알아보기 힘들다. 가장 간단하게 서비스에 동작중인 프로세스가 죽었을 경우에 관해 명령어를 통해 쉽게 파악할수있는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 dmesg | grep -E -i -B100 'killed process' 이처럼 입력하게 되면 서비스로 등록된 프로그램중 중지 또는 kill된 원인 및 내용이 나온다 대부분의 경우 Out of memory: Killed process PID (서비스명) 이런형태로 표기된다.

나미/우분투 2020.05.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