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미 134

address already in use (bind error)

종종 소켓프로그래밍을 하다가 잘못 종료되거나 또는 강제종료가 될 경우에 bind error 나는 경우가 종종있다. error내용을 보면 address already in use.... 이미 주소를 사용하고있다라고 표시된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보통의 경우 포트를 잡고 있어서 생기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 netstat -lntp 입력후 해당 소켓의 port가 사용되는것을 찾아서 pid번호를 kill 해주면 된다.

나미/우분투 2017.05.09

라즈베리파이3 uart 사용하기

라즈베리파이3의 경우에는 블루투스가 내장이 되어있다. 특이하게 블루투스와 uart가 같이 사용되기때문에 둘중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설정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1. 블루투스사용을 uart로 바꾸기 vim /boot/config.txt 경로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맨 마지막줄에 추가해준다. #bt disabled dtoverlay=pi3-disable-bt 2. 블루투스를 정지시켜준다. systemctl disable hciuart 입력 그리고 나서 재부팅 reboot 3. 그다음 uart통신의 경우 해당 보드 또는 장치의 band_rate를 맞춰줘야한다. speed 우선 현재 속도를 확인하기 위해 stty -F /dev/ttyAMA0 여기에서 speed에보면 115200 이라고 표..

paho.mqtt.c 사용하기

1. git을 이용하기 위해서 먼저 git을 설치해준다 apt-get install git 2. git을 이용해서 해당 lib파일을 통째로 받는다. git clone https://github.com/eclipse/paho.mqtt.c.git 3. 그럼 paho.mqtt.c 폴더가 생성되어 있다. 여기서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링크해준다. cd paho.mqtt.c make make install 이렇게 하면 일단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pub, sub는 직접 코딩해서 컴파일해도 되고, 아니면 src/samples/경로의 pub와 sub를 사용해서 테스트를 해봐도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