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미 134

라즈베리파이 우분투 셋팅

스터디 첫번째로 server 구현을 하기위해서 기본적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셋팅하는것을 일단 먼저 기록한다. 나같은 경우에는 ssh 접속기를 putty, xshell.. 등등 나와있는게 있어서 xshell을 선택해서 사용했다. 1. ssh 접속 위와같이 접속할때는 ssh ip주소 이렇게 치면 호스트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놈이라서 한번수락 할것인지 계속적으로 수락해서 쓸것인지는 본인이 결정하면 될꺼같다. 나같은경우는 ip가 종종 바뀌므로 한번수락을 선택했다. 그럼 이렇게 로그인 사용자를 넣으라고 하는데 처음 설치할때 id를 넣어주면 된다. 그리고 나서 당연히 처음 입력했던 pw도 넣어주고 확인을 누른다. 그럼 접속되었다고 화면에 이렇게 뜬다 이러면 일단 접속은 끝났다. 2. root 계정 설정하기 ..

라즈베리파이3 우분투 메이트 설치(우분투 16.04 LTS)

라즈베리파이3 B모델로 스터디를 하기로 했다. 그래서 이참에 기본 설치 가이드부터 셋팅까지 한번 하나씩 설명과함께 올려본다. 1. Micro SD카드를 먼저 FAT32로 포맷을 진행한다. 나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SD카드를 우선 포맷했다. 2. 포맷한 SD카드에 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를 올리는데 라즈비안(파이썬), 우분투 메이트(리눅스), cent os.. 등 여러개가 있으니 원하는걸 올리면 될꺼같다. 나는 일단 우분투를 올리는것으로 설명을 한다. 우선 다운로드 받아보자!! https://ubuntu-mate.org/download/ 이렇게 하면 다운받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쪼매~~~~~~ 걸릴지도...ㅋㅋㅋㅋㅋ 3. 다운이 완료되면 이제 SD카드에 넣어보자 write해서 넣으면 된다. 4. SD카..

우분투 mosquitto 설치

1. apt-get install python-software-properties 2. apt-add-repository ppa:mosquitto-dev/mosquitto-ppa 3. apt-get update 4. apt-get install mosquitto 이러면 설치 끝 실행 >> mosquitto =========================================================== 필자는 개인적으로 paho.mqtt.c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를 연동했다 paho.mqtt.c를 다운받고 paho 라이브러리라고 치면 나온다.. 폴더를 통째로 복사해서 넣고 make install... 그다음 make publish, subscribe는 개인적으로 필요한 용도에 따라 개발하면 된다...

나미/우분투 2017.03.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