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58

6장. 연습문제

1번. 다음 코드를 실행하면 원하는 결과가 출력되지 않습니다.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세요. #include int main() { float num; printf("실수를 입력하세요: "); scanf("%f", &num); printf("당신이 입력한 수는 %.2f입니다.\n", num); return 0; } 결과 화면 2번. 다음 코드를 실행하면 예상하지 못한 이상한 값이 출력됩니다. 이유는 무엇입니까? 또한 "c=200"이라는 결과가 출력되도록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include int main() { int c = 200; printf("c = %d \n", c); return 0; } 결과 화면 3번. 다음 코드에서 자동 형변환과 강제 형변환으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 부분은 어느 ..

5장. 연습문제

1번. 키보드로부터 세 정수를 입력받아 (x+y)*(x+z)/(y%z)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nclude int main() { int a, b, c; int sum = 0; printf("input x : "); scanf("%d", &a); printf("input y : "); scanf("%d", &b); printf("input z : "); scanf("%d", &c); sum = (a + b) * (a + c); sum = sum / (b % c); printf("(x + y) * (x + z) / (y % z) = %d\n", sum); return 0; } 결과 화면 2번. 두 수를 입력받아서 둘 중 작은 값을 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단, 두 수가 같으면 ..

4장 연습문제

1번.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되게 문자열 상수를 사용하여 빈칸을 채우세요. #include int main() { printf("%s = %d \n", "10+20", 10+20); return 0; } 결과 화면 2번.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되게 심볼릭 상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nclude int main() { const int today = 2010; const int age = 20; const int year = 1990; const int age2 = 18; const int year2 = 1992; printf("올해는 %d년입니다.\n", today); printf("내 나이는 %d살입니다\n", age); printf("나는 %d년에 태어나 %d번째 해가 되었습니다...

2장 연습문제

1번. 다음과 같은 실행 결과가 모니터에 출력되게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nclude int main() { printf(" * \n"); printf(" *** \n"); printf(" ***** \n"); printf(" *** \n"); printf(" * \n"); return 0; } 결과 화면 2번. 서식 문자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구단 2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nclude int main() { int a = 2; int b = 1; printf("%d * %d = %d\n", a, b, a * b); printf("%d * %d = %d\n", a, b + 1, a * (b + 1)); printf("%d * %d = %d\n", a, b + 2, a * (b +..

22. 함수선언과 정의

함수 함수는 특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C프로그램의 경우 여러개의 함수들로 구성되어 소스를 코딩한다. 함수 여러개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프로그램 작성에 난이도를 낮출수가 있다. - 하나의 큰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나누어서 작업할 수 있다. - 자주 사용하는 코드는 함수로 작성하여 필요할 때 마다 반복적으로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 한번 오류가 검증된 함수는 다시 오류검사를 할 필요성이 없다. 이처럼 함수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함수를 잘 이용한다면 보다 간결한 소스를 작성할 수 있다. 함수의 선언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의 경우 main함수 위에 바로 직접 함수를 코딩하거나, 선언부를 main함수 위쪽에 적어두고 밑에 함수를 코딩하는 방법이 ..

나미/C 2013.03.28

21. 비트연산자

비트연산자 연산자 기능 수식 수식의 의미 & 논리곱 a&b a와 b의 논리곱 | 논리합 a|b a와 b의 논리합 ^ 베타적 논리합 a^b a와 b의 베타적 논리합 ~(틸트) 비트반전 ~a a의 각 비트를 반전 b a를 b만큼 우측으로 이동 172와 106으로 예시 &&와 &의 차이 172 && 106 = 1 의 결과값이 나온다 이것은 단순히 앞에서 설명했듯이 참(1)과 거짓(0)만 구별하는 논리식 172 & 106 = 40 이라는 결과값이 나오게 된다.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172 => 1010 1100 2진수 106 => 0110 1010 2진수 1 0 1 0 1 1 0 0 > 172 & 0 1 1 0 1 0 1 0 > 106 ㅡㅡㅡㅡㅡㅡㅡㅡㅡ 0 0 1 0 1 0 0 0 > 40 둘다 1이 되는 값..

나미/C 2013.03.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