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미 134

패킷분석을 통한 프로토콜(handshake)

기본 소켓분석 bit 용어 설명 접속 1. 클라이언트 -> 서버로 syn만 보냄 2. 서버 -> 클라이언트로 syn와 ack를 보냄 - 보낼때 syn로 받은 값에 +1을해서 ack로 보냄 3. 클라이언트 -> 서버로 - 접속이 완료됨에 따라 신호 보냄, ack번호에 +1 해서 보냄 종료(close) 1. 클라이언트 -> 서버로 종료 - 종료를 할경우 가장 우선시 되므로 psh가 yes로 변경 2. 서버 -> 클라이언트 - 연결 종료 신호를 보냄 fin 3. 클라이언트 -> 서버로 - 받았다고 신호를 보냄 4. 서버 -> 클라이언트로 - 우선처리하겠다고 신호를 보냄 psh 5. 서버 자체에서 종료 - 초기화 시킴 rst가 yes로 변경

나미/리눅스 2013.07.02

24.지역변수와 전역변수

지역변수 지역변수라는 이름에서부터 지역이라는 한정적인 변수라는 것을 알수 있다. 즉 쉽게말해서 특정 지역에서만 변수의 의미를 가진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지역변수는 특징을 가지는데 1. 초기화를 하지않으면 쓰레기 값이 저장된다. 2. 중괄호를 벗어나면 소멸된다. 전역변수 전역변수 역시 이름에서 표현하는바와 같이 모든 지역에 변수가 해당된다는 의미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어느곳이든 변수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는 말과 같다.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역변수의 경우 main함수가 종료되어도 a,b의 메모리는 계속해서 할당되어 있다. 지역변수와의 차이가 바로 이런 부분이다. 소멸되지 않기때문에 계속해서 변수를 사용할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전역변수의 특징으로는 1. 초기화를 하지 않아도 ..

나미/C 2013.04.05

23. 배열

배열이란???? 같은 자료형(int, float, char, ...)을 가진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사용되어질때 이들을 한꺼번에 차례차례 나열하여 메모리를 할당하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보통은 같은 자료형을 가진 변수들이 여러개가 필요할 때 주로 사용되어진다. 배열의 선언 int array[10]; 위와 같은 형태로 선언을 합니다. int - 자료형, array - 배열이름, [10] - 배열 길이를 뜻합니다. 단, 특이하게도 배열을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할경우 예를 들어 설명하면 int array[2] = {1, 2}; 정상적인 초기화. int array[2]; 배열은 연속적인 메모리 할당이므로 배열이름만 사용할 경우 주소를 가지는 상수 array = {1, 2}; 이므로 상수에 상수를 대입할 수 없다. ..

나미/C 2013.04.03

22. 함수선언과 정의

함수 함수는 특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C프로그램의 경우 여러개의 함수들로 구성되어 소스를 코딩한다. 함수 여러개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프로그램 작성에 난이도를 낮출수가 있다. - 하나의 큰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나누어서 작업할 수 있다. - 자주 사용하는 코드는 함수로 작성하여 필요할 때 마다 반복적으로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 한번 오류가 검증된 함수는 다시 오류검사를 할 필요성이 없다. 이처럼 함수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함수를 잘 이용한다면 보다 간결한 소스를 작성할 수 있다. 함수의 선언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의 경우 main함수 위에 바로 직접 함수를 코딩하거나, 선언부를 main함수 위쪽에 적어두고 밑에 함수를 코딩하는 방법이 ..

나미/C 2013.03.28

21. 비트연산자

비트연산자 연산자 기능 수식 수식의 의미 & 논리곱 a&b a와 b의 논리곱 | 논리합 a|b a와 b의 논리합 ^ 베타적 논리합 a^b a와 b의 베타적 논리합 ~(틸트) 비트반전 ~a a의 각 비트를 반전 b a를 b만큼 우측으로 이동 172와 106으로 예시 &&와 &의 차이 172 && 106 = 1 의 결과값이 나온다 이것은 단순히 앞에서 설명했듯이 참(1)과 거짓(0)만 구별하는 논리식 172 & 106 = 40 이라는 결과값이 나오게 된다.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172 => 1010 1100 2진수 106 => 0110 1010 2진수 1 0 1 0 1 1 0 0 > 172 & 0 1 1 0 1 0 1 0 > 106 ㅡㅡㅡㅡㅡㅡㅡㅡㅡ 0 0 1 0 1 0 0 0 > 40 둘다 1이 되는 값..

나미/C 2013.03.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