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연산자 C언어의 연산자 분류의 제일 위에서부터 우선순위가 가장 큰순서대로 ↓로 우선순위이다. 지금 당장은 외울필요는 없으며 우선순위가 가장 큰 최상위는 ()라는 것만 눈에 익혀두고 넘어가자. (→) 방향표시는 같은 줄에서 우선순위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세부적인 연산자에 대해서는 조금 있다가 설명하도록 한다. 나미/C 2013.03.12
8. 가수부와 지수부 먼저 이그림을 잘 살펴보자. 32비트일때의 경우와 64비트의 경우 두가지의 지수부 가수부 부분을 잘그려놓은 표이다. 설명은 32비트 기준으로 한다. 가수부 : 2라는 숫자 부분을 보통 가수부라고 한다. 지수부 : 128이라는 수학적 표현에서 제곱의 위치에 해당한다. 맨앞쪽에 한칸은 부호비트 방식으로써 양수와 음수를 판단하는 비트로 사용을 하게된다. 지수부 부분은 8비트, 가수부 부분은 나머지 23비트를 사용하게 된다. 이후에 충분한 이해가 가능한 시기가 오면 => 19번. IEEE 754 표준 글내용을 보길 추천한다.. 나미/C 2013.03.12
7. 자료형 먼저 C언어의 기본자료형부터 설명을 하겠다. 기본자료형 종류 키워드 자료형 의미 char character 문자형 int integer 정수형 float floating point number 실수형 double double precision floating point 배정도 실수형 void void 자료형 없음 1. char형 문자형의 표준형이라고 부르며 보통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자료형이다. 출력은 보통 문자형으로 출력되지만 실제적으로 가지고 있는 값은 아스키코드의 값을 가지고있다 2. int형 정수형의 표준형이라고도 하며 수학적인 범위에서는 무한대이지만, 컴퓨터의 경우는 물리적 제한이 있기때문에 어느정도의 크기가 정해져 있다. 일단 16비트 환경에서는 2바이트 32비트 환경에서는 4바이트가 일반.. 나미/C 2013.03.11
6. compile와 진법의 사용 진법을 배우는 이유를 먼저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컴퓨터는 기계이기때문에 사람의 언어를 이해할수 없다. 그러므로 입력값을 통해서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인식하게 되어있다. 이것을 해주는 역활을 통칭하여 compile라고 부른다. 쉽게 말해서 우리가 어떤 명령어를 보낼경우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0(볼트)와 5(볼트)로 보내게 되고 받은 신호를 다시 우리에게 보기 쉽게 보내주는 역활을 한다. 그럼 우리에게 익숙한 진법부터 알아보자. 10진법 c, 13 >> d, 14 >> e, 15 >> f 로 표기한다. 9 + 1 ㅡㅡㅡㅡ 나미/C 201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