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콘에 대하여
비콘 - 근거리 데이터 무선 통신 기술의 대표적인 모델이라 할수 있으며, IoT에 관한 이슈가 확대됨에 따라 관심이 높아짐
BLE기술이라 보통 얘기하는데 Bluetooth Low Energy라는 용어의 약자로 사용.
특징
- 소량(168비트=21바이트)의 패킷
- 주기적 신호
- 페어링 불필요(No Pairing)
- 저전력(3V 코인, 200~300ms 주기 기준, 약 2년), 실제 사용하게 되면 1년정도가 맞는거 같음
- 도달거리 최대 50m, 이론상 70m까지 보장한다고는 하나 대게 20~30m정도 이하거리에서 수신이 좋음
- UUID+메이저+마이너+RSSI(보내는 신호는 비콘 송신기 ID 값과 수신신호세기(RSSI)가 전부), 펌웨어 개발의 의해 변경 가능
- iOS7, 안드로이드 4.3 이상 지원, 현재 스마트폰의 경우 비콘 수신 성능은 60~70% 정도
- 반드시 블루투스가 켜져 있어야만 신호 수신
- 크기가 작고 대부분 장착 또는 부착방식(웨어러블 디바이스)
단점
- 보안에는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
- 반드시 수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디바이스와 app등 지원가능한 s/w가 필요함
728x90
반응형
'나미 > 라즈베리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이미지 백업(만들기) (0) | 2018.10.08 |
---|---|
우분투 마테 멀티ip (0) | 2018.09.14 |
라즈베리파이 고정ip (0) | 2018.08.13 |
라즈베리파이3 AP모드(우분투 마테) (0) | 2018.07.30 |
라즈베리파이3 uart 사용하기 (0) | 2017.04.13 |
paho.mqtt.c 사용하기 (0) | 2017.04.10 |
라즈베리파이 우분투 셋팅 (0) | 2017.03.30 |
라즈베리파이3 우분투 메이트 설치(우분투 16.04 LTS) (0) | 2017.03.30 |
시리얼 및 usb 장치 확인 (0) | 2016.08.29 |
mysql 설정 (0) | 2016.07.02 |